본문 바로가기

essay 서양화가 우창훈 작업실


essay HOME


Woo Changhoon’s Humanly Beyond-Human World

By Nayoung Kim (Doctor of English literature)


Stretch out your arm.


Pick a spot—a vein, a mole, a strand of hair.


Lean in.

Even closer.


Focus on it until your vision blurs.

Notice things moving furtively over the translucent plain.


Perhaps it is your pores widening.

The cells multiplying.

The particles vibrating.


Vibrating, moving, colliding, merging.

With those in the air, in the plant on your windowsill, in your chair.


Feel the electricity emitting through your shoulder blades.


Is that fear rising inside? Is it bliss? Hope?



Imagine physically becoming one with anything. With your own cells, the body of your loved one, the green veins of your houseplants, the ground that you’re standing on, the air that you’re breathing. Imagine all artificial boundaries and thresholds—“life and death,” “man and woman,” “humans and nature,” “past and present,” “mundane and spiritual”—disintegrating and intermingling. It is a terrifying vision because we rely on boundaries and orders to make things intelligible. It may be a similar awe at facing the void before God created the world or at the seed of the universe before the Big Bang. Where you and I are indistinguishable. Where them and us are the same.


“When I’m immersed in painting, I feel the electricity flowing through my shoulders. You’re transported to that other dimension. It’s like being possessed,” said Woo Changhoon.



Yet, Woo’s otherworldly canvas is far from a surreal fantasy land or primordial chaos.



It is the same world that you and I inhabit as eating, sleeping, and loving humans.


Woo channels our daily world from a dimension we do not pause to feel. A dimension that is sometimes infinitesimal, others cosmic; a dimension that you need to be “possessed” to access.



An easy shorthand for Woo’s strangely captivating universe is the “quantum world” which has become both hip and familiar with dramatic time travels and cool physics (Mr. Nolan’s Interstellar and Oppenheimer). I am not complaining here. “I felt so lonely doing this kind of work alone back in the 80s. Now, I have young fans and other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my vision,” said Woo. The quantum trend has certainly made Woo’s works more recognizable. Or labelable.



But that label may leave you missing what Woo has tried to project for the past 40 devoted years.



How do you imagine a beyond-human realm as a human with limited sensory receptors? What sensations are stirred when you attempt such an absurd imagination?


How does this imagination guide you to live as a finite human?

A neat diagnosis such as “oh, this spiral represents the active movement of quanta” would bypass these fervent questions.



You can make Woo’s two-dimensional-but-not-two-dimensional (“multidimensional,” according to the artist) paintings utterly cerebral by viewing them as esoteric renditions of theoretical physics. But what does that mean to us as living, breathing humans brushing with other humans and non-humans?


Woo’s paintings show that these brushings may not be intellectually clear or even aesthetically pleasant. They are poignantly corporeal, electrifying, and weirdly human.


***

시간의 감각이 날카로울 때가 있다. 몸이 아플 때 특히 그렇다.
[…]
해오던 일을 모두 멈추고 통증을 견디는 동안, 한 방울씩 떨어져내리는 시간은 면도날을 뭉쳐 만든 구슬들 같다.

-      한강, 『흰』(Han Kang, The White Book)



In diamond-sharp prose, writer Han Kang talks about the trenchant edge of time that bodily pain makes her aware of. When an otherworldly pain hits, you become hyperaware of the workings of your physiology to its smallest tips. As you focus on this atomic dimension, time stretches. Each minute, second, and eventually time are elongated. Your pained body transports you to an alternate realm where time moves differently.

A painting of a person with different colors??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with medium confidence

Pain, oil on canvas, 145.5 x 112cm, image courtesy of the artist

The triggered matters of your throbbing body charge through space, meeting in their course the matters forming your memories and other bodies. Time curves and spirals as if permeating your soft flesh.



If pain carries Woo unexpectedly to the matters’ dimension, he transports himself at will as well. The artist devoted decades since the 1970s to contemplating the “origin of the universe,” studying topology, quantum physics, and East Asian spiritual traditions. Such hermetic dedication yielded Woo a rare command over his mode of working. Through a brief period of intense concentration, Woo can get into an other-dimensional state where he channels the matter’s movements with his fingers as if “possessed.”


What he puts on canvas, says Woo, comes spontaneously on the spot. But this spontaneity sits on top of remarkable perseverance to get closer to the truth of everything. Throughout Woo’s early to mid-career, no one in the Korean art world resonated with his burning interest in such an obscure topic and bizarre half-abstract, half-figurative representations. He never belonged to any “schools.” He still doesn’t. Yet he persists, with an adamant belief that this is his calling as an artist. In his canvas, our world unfolds in a form closer to its origin. Its unexpected connections are revealed, inspiring weighted awe and curious exhilaration.



Woo has been conducting live painting sessions where he starts and finishes a piece in front of the viewers. “Each time, there’s different energy because people who come are different. I’m gathering that energy, which is why I can’t do this in an isolated studio. Being able to channel that energy, that chi…makes me infinitely grateful to the divine order.” The viewers contribute to the matter’s energy that Woo transmits live on canvas. The divide between the artist and passive viewers dissolves; they channel a painting, together.


It doesn’t matter when you go see Woo’s session since it is not about witnessing a painting getting done.


It is about the vibrations of you and your fellow beings reshaping the gallery space and ordinary time (“missed my morning coffee today,” “the subway was insanely crowded”), together.

    

***

[I]f humans are simply stupid creatures limited by our natures to experience events chronologically, would this mean that in physical reality we have no control over our lives, that we cannot be held responsible?

- Meng Jin, Little Gods

The “origin of the universe” can seem so far removed from earthly affairs. What are relationships, love, or even empathy, against the essence?


They are where the essence leads you.



A painting of a person and person??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Sacred Chaos, oil on canvas, 91 x 116.7cm, image courtesy of the artist

Woo’s life-long pursuit of the essence made him aware of his infinite entanglement with other beings, whether humans or non-humans, dead or alive. It is nearly impossible to fathom this chaotic mesh in the dry realm of mechanical reason. Incorporating everything, they are capacious and “sacred.”



It is one challenge to envision the “sacred” merging in the dimension that we live in; it is another to represent it. Exactly what should you put on canvas to show that connection?


Woo’s oeuvre reflects the artist’s long contemplation of this practical and very human question. His early works from the 80s and 90s gravitate toward the most prominent thresholds in our imagination of spirituality and essence, namely life and death, and noticeably conceptual subjects such as antimatter derived directly from theoretical physics.



Had Woo stayed with these quintessential yet rather predictable subjects, his works would not have been so gripping.


But Woo has evolved.


The initial preoccupation with abstract, borderline spaces shifted to tangible, ordinary ones including a marketplace and people working out in a gym, having a casual meal, or being in the heat of lovemaking. Woo must have realized that his choices of what he depicted were as arbitrary as the line between life and death. If matters reign free from the boundaries imposed by humans, why should he limit himself to subjects that humans assume are about boundaries? Matters are fluttering in moving treadmills and people exerting to lift 15 kilos of dumbbells. The colors on canvas need not be somber as you would associate with an austere subject like life and death. Then, why not bring in bright colors?

      A close-up of a painting??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left, right) Wellness, oil on canvas, 9 x 72cm; Entanglement1, oil on canvas, 72.7×60.6cm (image courtesy of the artist)


A visionary attempts to see beyond what is obvious. One is also aware that the bodily limitations of a human may thwart that attempt. Woo is a visionary in both senses. Passionately, he tries to illuminate what it is like to exist as something he cannot see, touch, or feel. He imagines himself, you, me, and everything intermingling. This may be an unattainable yearning. And this is what makes Woo’s beyond-human works human—so ardently human that they burn.


***

Where will Woo’s works go from here? However banal it may sound, anywhere and everywhere. His recent works move with striking ease among different subjects and color palettes, both of which have been expanding.


Woo has found an odd bliss in the boundless possibilities lying in the dimension of matter. If your and other bodies can comingle, if the animate and inanimate worlds are one, we are never alone.


Life and what lies beyond it, then, are companionships.



Isn’t that blissful?




우창훈: 너무나 인간적인 초인간적 세계


글 김나영 (영문학 박사)


팔을 뻗어보라.


한 곳을 골라라. 정맥, 점, 머리카락 한 가닥.


가까이 다가가라.

지금보다 더 가까이.


시야가 흐려질 때까지 그곳에 집중하라.

불투명해진 시야의 평원에서 살며시 움직이는 것들을 느껴보라.


확장하는 모공일 수도 있고,

증식하는 세포,

진동하는 입자들일 수도 있다.


진동하고, 움직이고, 충돌하고, 엉긴다.

공기, 창가에 놓인 식물, 지금 앉아있는 의자를 이루는 입자들과.


어깨뼈에서 방출되는 찌릿함을 느껴보라.


그건 내 안에서 차오르는 두려움일까? 반짝하는 행복일까? 혹은 희망일까?



모든 것과 물리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을 상상해 보라. 내 세포,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몸, 집에 있는 식물의 녹빛 정맥, 딛고 서 있는 땅, 호흡하는 공기. 모든 인위적 경계와 문턱이(“삶과 죽음,”“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 “과거와 현재,” “일상적인 것과 영적인 것”) 해체되고 뒤섞이는 것을 상상해 보라. 우리는 세상을 이해 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경계를 짓고 질서를 부여하곤 한다. 그래서 이 뒤섞임은 두렵다. 신이 세상을 창조하기 전 텅 빈 상태나 빅뱅 이전에 존재했던 우주의 씨앗이 불러일으키는 경외감과 비슷할 수도 있다. 너와 내가 구분되지 않는 상태. 그들과 우리가 같은 상태.


“그림 그리기에 몰입하면 어깨가 찌릿찌릿해요.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거죠. 빙의된 것과 비슷해요.”



그러나 우창훈이 그리는 이 세상 너머의 세계는 어떤 환상의 땅이나 인간이 있기 이전 원시적 혼돈과는 거리가 멀다.


우창훈이 빚어내는 세계는 당신과 내가 먹고, 자고, 사랑하는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지금 이 세상이다.


우창훈은 우리의 일상적 세계를 당신과 내가 좀처럼 차분히 느끼려 하지 않는 차원에 서서 그려낸다. 이 차원은 때로 무한히 작은 것들로, 때로는 우주만큼 거대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 접근하려면 “빙의”되어야 한다.



“양자 세계”는 우창훈의 묘하게 매혹적인 우주에 접속하는 손쉬운 단축키일 수 있다. 드라마틱한 시간 여행과 세련된 물리학으로 통하게 된 양자 세계는 이제 힙하면서도 친숙하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인터스텔라』와 『오펜하이머』가 크게 한몫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불평하려는 것은 아니다. “80년대에 이런 작업을 혼자 하면서 너무 외로웠어요. 이제는 어린 팬들도 생기고 제 작업에 관심있다는 젊은 작가들도 있어요”라고 우창훈은 말한다. 양자 역학이란 트렌드는 그간 의도하지 않은 아웃사이더 작가였던 우창훈이 보는 사람의 눈에 좀 더 잘 띌 수 있게 했다. 동시에 그의 작품에 분류 라벨을 붙이기 편리하게도 했다.



하지만 그 간편한 라벨이 우창훈이 지난 40년 동안 캔버스에 투사하려 애써 온 것을 자칫 가릴 수 있다.



한계가 있는 감각 수용체를 지닌 인간이 인간 너머의 영역을 어떻게 상상할 수 있을까? 이런 부조리한 상상은 어떤 종류의 감각 경험을 자극하고 휘저을까?


이러한 상상이 내가 유한한 인간으로서 살아가는 데에 어떤 메시지를 던질까?


“여기 보이는 나선 형태는 양자의 활발한 움직임을 표현한다”와 같은 깔끔한 진단은 이 열렬한 의문들을 우회할 수 있다.



2차원이면서 2차원이 아닌(작가의 말을 빌리면 “다차원”인) 우창훈의 작업을 ‘이론 물리학을 심오하게 형상화했다’며 완전히 이지적이라 읽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해석이 우리가 살아 숨쉬는 인간으로서 다른 인간, 비인간과 얽히는 데에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우창훈의 작품은 그러한 얽힘이 지적으로 명료하지도, 미적으로 즐겁지도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 얽힘은 오히려 몸에 사무치고, 찌릿하다. 그리고 기이하게 인간적이다.


***

시간의 감각이 날카로울 때가 있다. 몸이 아플 때 특히 그렇다. […]해오던 일을 모두 멈추고 통증을 견디는 동안, 한 방울씩 떨어져내리는 시간은 면도날을 뭉쳐 만든 구슬들 같다.

-     한강, 『흰』



소설가 한강은 다이아몬드처럼 선명하고 단단한 특유의 문체로 몸의 고통이 시간의 가장자리를 얼마나 날카롭게 느끼도록 하는지 이야기한다. 마치 이 세상의 것이 아닌 듯한 고통이 닥치면 몸을 작동시키는 생리 체계의 가장 작은 말단까지도 인지하게 된다. 원자처럼 미세한 그 차원에 집중할 수록 시간은 가늘게 늘어난다. 매분, 매초, 이내 시간 자체가 잡아당겨 길어진다. 고통받는 몸은 시간이 달리 움직이는 공간으로 우리를 이동시킨다.

A painting of a person with different colors??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with medium confidence

우창훈, 『고통』, 캔버스에 유화, 145.5 x 112cm


욱신거리는 몸의 입자들이 회오리치며 공간을 가로지고, 나의 기억을 이루는 입자들, 그리고 내가 아닌 다른 몸들을 이루는 입자들과 만난다. 마치 무른 살덩이에 스며들려는 듯 시간은 구부러지고 빙빙 비틀린다.



고통이 우창훈을 입자의 차원으로 예기치 못하게 인도하는 한편 작가는 의식적으로 자신을 그 차원에 데려다 놓기도 한다. 1970년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우창훈은 “우주의 기원”에 대해 고민하고 위상수학, 양자 물리학, 그리고 동아시아의 영성 전통을 연구하는 데에 수십 년을 바쳤다. 그리고 이 은둔자적 헌신의 기간은 우창훈이 붓질을 시작하고 계속할 때 발현되는 보기 드문 통제력을 벼려냈다. 그는 붓을 들기 전 짧은 시간동안 입자의 차원에 철저히 집중한다. 그리고 마치 “빙의”된 듯 입자의 움직임을 손가락에 담아낸다.


우창훈은 캔버스에 그리는 형상들이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나온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즉흥성은 모든 것의 진리에 가까이 다가가려는 과정에서 다져진 작가의 어마어마한 인내심을 딛고 서 있다. 우창훈이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을 때부터 그 여정 중간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계에서 그의 난해한 주제와 추상과 구상이 뒤섞인 희한한 표현 방식에 공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는 어떤 ‘학파’에도 속한 적이 없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래도 우창훈은 이 이상한 여정이 예술가로서 자신의 소명이라는 굳건한 믿음을 가지고 계속 걷는다. 우창훈의 캔버스에서 우리의 평범한 세계는 그 기원에 조금 더 가까운 형태로 펼쳐진다. 익숙한 세계가 일상적 차원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뜻밖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날 때 우리는 묵직한 경외감과 기묘한 희열을 느끼게 된다.



우창훈은 관객들 앞에서 작품을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라이브 페인팅 세션을 진행해왔다. “매번 에너지가 달라요. 오는 사람들이 다르니까. 제 일은 그 에너지를 모으는 거예요. 그래서 이건 작업실에서 나 혼자 할 수가 없어요. 그 에너지, 다른 말로 그 기를 내가 느끼고 표현할 수 있다는 걸 생각할 때마다 그 신성한 질서에 참 무한히 감사하게 돼요.” 작가가 캔버스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입자 에너지를 만드는 건 관객이다. 예술가와 수동적인 관람객의 구분은 사라진다. 갤러리 공간에 모인 사람들은 작가와 함께 작품을 만든다.


우창훈의 페인팅 세션을 언제 보러 갈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 시간은 작품이 완성되는 순간을 목격하기 위한 것이 아니니 말이다.


이 시간은 내가 내 옆에 선 사람들과 함께 이 공간과 일상적 시간을(“오늘 아침에 커피를 못 마셨어,” “지하철이 너무 붐볐어”) 재구성하는 진동을 만들어 내기 위한 것이다.



***

만약 인간이 타고난 본성 때문에 어떤 일을 오직 연대순으로 밖에 경험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존재라면, 그게 우리가 물리적 현실 속에서 삶을 통제할 수 없고 따라서 우리 삶에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뜻일까?

-     맹 진, 『작은 신들』


 “우주의 기원”은 이 세상 일과 완전히 동떨어져 있는 것만 같다. 그 거대한 ‘본질’ 앞에서 다른 존재와 맺는 관계, 사랑, 심지어 공감이 뭐가 될 수 있단 말인가?



거기가 우주의 본질이 이끄는 곳이다.

A painting of a person and person??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성스러운 카오스』, 캔버스에 유화, 91 x 116.7cm


우주의 본질을 좇았던 평생의 여정은 우창훈으로 하여금 자신이 다른 존재와 끝없이 얽혀 있음을 거듭 일깨웠다. 그 존재가 인간이든 비인간이든, 죽었든 살아있든. 이 혼란스러운 연결 고리를 건조한 기계적 이성으로 헤아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연결 고리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끌어안기 때문에 광대하고 “성스럽다.”


이 “성스러운” 얽힘을 우리가 살고 있는 차원에서 상상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라면, 그 얽힘을 화면에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과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그려야 이러한 연결을 보여줄 수 있을까?


우창훈의 작품들은 작가가 이 지극히 실용적이면서 인간적인 질문에 대해 작가로서의 여정 내내 고민해 왔음을 보여준다. 1980-90년대에 걸친 초기 작품들은 인간이 영성과 우주의 근원을 상상할 때 가장 직관적으로 떠올릴 법한 경계(이를테면 삶과 죽음)나 이론물리학 개념인 반물질 등 두드러지게 추상적인 소재에 이끌린다.



우창훈이 이처럼 근본적이지만 다소 예측 가능한 소재에 머물렀다면, 그의 작품이 보는 사람의 마음을 그토록 움켜쥐진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우창훈은 진화했다.


추상적이거나 경계선 상에 놓인 공간에 대한 초기의 관심은 시장 풍경, 체육관에서 운동하거나 가벼운 식사를 하는 사람들, 사랑을 나누는 뜨거운 몸 등 만지고 느낄 수 있는 평범한 공간으로 점차 옮겨간다. 아마 우창훈은 ‘어떤 것’을 그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자신의 대답이 ‘삶과 죽음’을 가르는 경계만큼이나 임의적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듯하다. 입자가 인간이 부여한 경계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움직인다면, 그 움직임을 표현할 때 인간이 경계선 공간을 재현한다고 흔히 생각하는 소재에 국한될 필요도 없지 않나? 입자는 작동 중인 러닝머신과 15 킬로그램 아령을 들어올리려 애쓰는 사람들의 몸에서도 진동한다. 삶과 죽음처럼 엄숙한 주제와 결부된 어둠침침한 색채에 더 이상 국한될 필요도 없다. 그렇다면 밝은 색을 들여오는 건 어떨까?

      A close-up of a painting??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왼쪽, 오른쪽) 『웰빙』, 캔버스에 유화, 9 x 72cm; 『얽힘1』, 캔버스에 유화, 72.7×60.6cm



다른 사람들에 앞서 상상하는 사람은 명백한 것 너머를 보려 애쓴다. 그리고 인간의 몸을 지녔기 때문에 갖는 인지의 한계가 그 시도를 좌절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안다. 우창훈은 두 가지 의미 모두에서 열렬하다. 그는 자신이 볼 수도, 만질 수도, 느낄 수도 없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어떤 경험인지 드러내려 타는 노력을 쏟아붓는다. 작가 본인과 지금 이 글을 읽는 당신, 나, 그리고 모든 것이 뒤섞이는 모습을 상상한다. 이 열망은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불가능함이 우창훈의 초인간적 작품을 인간적으로 만든다. 온몸을 다해 인간적이어서 타오른다.


***

우창훈의 세계는 이제 어디로 향할까? 밋밋하게 들릴 수 있지만 그 어떤 곳으로도, 모든 곳으로도 갈 수 있다. 우창훈의 최근 작품들은 여러 소재와 색채들을 숨쉬듯 가볍게 넘나든다. 그리고 이 두 영역은 지금도 다채로워지고 있다.


우창훈은 입자의 세계가 열어주는 경계 없는 가능성에서 기묘하게 빛나는 행복을 찾았다. 내 몸과 다른 사람의 몸이 엉길 수 있고, 생물과 무생물 세계가 실은 같다면, 우리는 그 어느 때에도 혼자가 아니다.


그렇다면 삶과 삶 너머의 공간은 그 자체로 동행(companionship)이다.



행복스럽지 않은가?